이전부터 블로그에 기술적인 글을 꾸준히 작성하고 싶었으나 내용정리가 안되고 학원에 다니느라 뭔가 시간적인 여유가 없었다. 다행이도 꾸준히 어딘가에 기록은 해놓아서 맘먹으면 지금도 수업 때 배운 내용을 복원시켜서 작성이 가능하다. 그래서 이제는 뭔가 여유가 생긴 것 같아서 본격적으로 블로그 기술 정리를 하려고 한다. 이것저것 카테고리는 많이 만들어놨으나... 글이 0개 1개 짜리 이런걸 보고 있노라면 조금은 부끄럽다. ㅎ 

 

 학원에서 배웠을 때 중요하게 느꼈던 것들 혹은 배우지 않았던 것들을 추가적으로 기록해야 하는데 최소 각 카테고리 10개씩 정도는 계획하고 있다. AWS쪽이나 스프링 채팅쪽은 따로 녹화를 해놔서 보면서 정리를 할건데 추가적으로 검색해서 채워넣어야 할 내용들이 많다. 학원에서 배운 내용들이 전체적으로 정리가 되면 몇개월 후엔 AI쪽 기술도 정리하려 한다. pytorch를 사용해서 aws 람다로 서비스 하는 것을 이전부터 해보고 싶었는데 지금은 꿈도 꾸지 못하고 있다. 파이썬 쪽도 다시 공부를 해야겠다고 느낀게 프로젝트 때 데이터 크롤링 할 때 느끼긴 했다. 빠르게 구현하기 편한게 파이썬 만한게 없다. 자바도 물론 jsoup으로 크롤링이 가능한데 dto 정의하고 프로젝트 셋팅하는게 여간 귀찮은게 아니다. 실제 실무에서도 파이썬을 써야하는 일이 많을테니 최대한 익숙해지려 한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습  (0) 2023.05.12
Notion이라는 것을 공부했다.  (0) 2023.02.20
곧 IT 지식을 포스팅 할 예정  (0) 2023.02.18

 학원 수업 복습을 어떻게 해야할 지 늘 고민해왔다. 첫번째로 한 방식은 학원에서 배운 코드를 github에다가 올리고  지하철에서 모바일로 열어서 보면서 복습하고 PC로는 github repository 내 단어 검색으로 원하는 키워드를 찾아서 기억이 안나는 부분을 상기시켰다. 그런데 어느날 코드 키워드 검색기능이 되질 않는다. 몇주 전까지만해도 잘만쓰던 기능이 왜 안될까? 

 

그런데 위의 방법은 단점이 많았다. 의외로 복습 빈도가 그렇게 많지 않았고 빠르게 훑어보기에는 후반에 갈수록 너무 많은 파일들이 있었고 텍스트로는 담을 수 없는 시각적인 내용도 있고 또한 키워드 검색기능도 안되니 진짜 이제는 쓰기 더어려워졌다. 기억의 리프래쉬는 약 한달이라는 마지노선을 가지고 있다. 그 한달이 지나버리면 과거에 들은 수업 내용을 다시 머리속으로 재생시키는데는 +@의 노력이 더 붙는다. 지금까진 프로젝트 시작전 주말마다 복습을 해왔다. 사실 전공자임에도 학원에서 처음 배우는 내용이 많았다. front쪽은 기초적인 것들만 배웠고 spring 책들은 다들 독자가 이미 알고 있는것을 전제로 했으니 기초지식을 배울 기회도 전혀없었고 그 누구도 그 필요성을 강조하지 않았다. 이렇게까지 기초적인것부터시작해서 상위 지식으로 올라가는게 지금이 아니면 절대 오지 않을 것 같다. 이건 매우 감사한 기회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결국 생각해낸 방법은 README.md 파일 한 페이지에 배운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복습하면서 추가적인 공부를 하면서 내용을 채우고 공부과정에서 내가 생각한 내용, 그리고 시각적으로 설명해준 내용을 덧붙일 수 있다. 구현 아이디어를 장황한 코드가 아니더라도 몇 줄의 정리된 문장으로 적어놓으면 다시 상기시키기 쉬울거라 생각했다. 그리고 한페이지로 작성하는 것은 keyword 서치를 위한 방안인데 이것도 내용이 많이지면 보기가 힘들어지는게 많아질것이다.. 그리고 반드시 수업 끝난 후 일주일 이내에 작성하도록 하자.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동력은 첫번째는 끈기이고 두번째는 기본기이다. 끈기(?)는 아직 잘 모르겠고 기본기라도 잘 쌓아놓자.

 

https://github.com/ngotic/ServerBasic

 

GitHub - ngotic/ServerBasic: 서버개념정리

서버개념정리. Contribute to ngotic/ServerBasic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정리 예정  (0) 2023.07.16
Notion이라는 것을 공부했다.  (0) 2023.02.20
곧 IT 지식을 포스팅 할 예정  (0) 2023.02.18

📢 노션 필수 시청 영상👍 연간 대시보드, 포트폴리오(이력서) 템플릿 공유, 생산성 어플 A to Z (feat. 노션 실습) - YouTube

  그동안 워드 파일로만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물론 정말 편하다. 하지만 모양새가 이쁘진 않다. 최대한 익숙함과 편의성을 목적으로 하는 작업이긴 하다. 그리고 일정이나 할 일이 있으면 윈도우 캘린더에다가 적어놓았다. 바탕화면은 아무래도 컴퓨터를 키면 가장 눈에 잘 띄기에 내용을 상기시기키 쉽다. 큰 목표는 메모장에다 적었다. 물론 편의성은 있지만 이미지를 따로 넣지 못하고 가독성이 떨이지는 단점이 있었다.

 

   노션을 이용하면 이 모든 작업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게다가 겉보기에도 모양새도 깔끔하다. 익숙 해지기만하면 편의성도 좋다. 최근 IT 개발자들이 노션을 이용해서 프로젝트 관리도 하고 이력서도 쓴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나도 이런 꿀을 놓칠 순 없지.. 왠지 이것도 Typora처럼 갑자기 전면 유료로 전환되는게 아닐까? Typora는 불과 몇년전까지만해도 무료로 잘만 썼는데 왜 갑자기 쓰려니까 유료가 된건지... 구버전을 설치해도 실행이 되지 않는다. 정말 좋은 툴이었는데 다시 사용해보려니 아쉽다 정말..

 

위의 유튜브 링크에서 Notion이라는 툴에 대해 기본적인 것을 공부하였다. 정말 필요한 내용을 정리 잘 해놓은 영상이다. 22분에 책한권을 갈아 넣은 느낌이랄까... 추가로 이번 달 내로 Github, md 파일 작성툴에 대해서도  알아볼 계획이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정리 예정  (0) 2023.07.16
복습  (0) 2023.05.12
곧 IT 지식을 포스팅 할 예정  (0) 2023.02.18

이 블로그의 용도는 IT 지식을 정리하고 내 삶을 되돌아 보고자하는 용도이다. 단순히 회고록만 쓰지는 않고 내가 공부해왔던 지식들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카테고리는 JAVA, SPRING, DATABASE(sqld 자격검증 관련), HTML,CSS,JQUERY 쪽인데 길게 봐서 6개월? 정도 본다. 학원 수업에서 배웠던 지식이나 유튜브, 인프런, 패스트캠퍼스에서 배운 내용들을 복기하는 입장에서 글을 올리면 되지 않을까 싶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정리 예정  (0) 2023.07.16
복습  (0) 2023.05.12
Notion이라는 것을 공부했다.  (0) 2023.0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