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했던 포스트에서 ec2 인스턴스를 만들었고 aws 사이트에서 해당 인스턴스로 접속하였었다. 그 방법 외에도 더 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cmd창을 열어서 ssh로 바로 접속하거나 putty나 MobaXterm이라는 원격 접속툴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추가로 파일을 EC2 인스턴스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방법도 소개하려 한다.
SSH 원격접속하기
먼저 ssh로 접속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ssh -i pem파일명 접속하는username@퍼블릭IP주소
이렇게 ssh로 접속하는 방법은 cmd를 열고 원격 서버 접속을 위한 ip나 key값등을 타이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다수의 서버를 사용하는 입장이라면 이러한 것들을 매번 기억하기도, 일일히 입력하기도 귀찮다. 이러한 귀찮음을 보완해주는 것이 putty라는 GUI 원격 접속 프로그램인데 이건 좀 나온지 오래되기도 하고 무료에다가 굉장히 쓸만해서 주변에서 사용하는 것을 많이 봤던 프로그램이다. 화면 구성은 아래와 같다. 다만 ssh접속으로 하되 GUI 구성이라 좀더 다루기 편하고 내가 이전에 접속했던 세션연결을 저장할 수 있어서 다음에 또 접속하기가 편하다. 그리고 다양한 설정도 셋팅할 수가 있는데 원격접속만 해보고 별다른 셋팅을 해본적은 딱히 없다.
putty 원격 접속하기
이전에 발급받은 private key인 pem 파일이 있을것이다. 이것을 ppk형태로 변환 시킨 후에 load시켜 putty에 접속해야 한다. 이 때 pem파일을 ppk 파일로 변환하기 위해 puttygen을 사용한다.
- pem to ppk
- puttygen을 실행시켜서 load버튼을 눌르고 All Files로 파일 종류를 바꾸고 pem파일을 로드한다.
- Save private key버튼을 눌러서 적당한 파일이름으로 저장
- Connection > SSH > Auth > Credentials > Private key file을 등록한다.
- Session 탭에서 Host Name에 접속하려는 EC2 public IP를 입력하고 Open하면 연결이 되는데 Saved Sessions에 새션 이름을 입력하여 연결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 open후에 창이 뜨고 login as: 라는 칸에 ubuntu라고 입력하면 접속이 된다.
이렇게 ec2 서버에 연결이 되었는데 putty의 단점은 파일 업로드시에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업로드를 하려면 보통은 파일질라와 같은 FTP프로그램을 추가로 설치해서 하는 경우나 혹은 putty와 함께 설치되는 pscp를 이용하여 업로드를 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작업들은 추가로 설치작업을 하는 경우 혹은 커맨트 창에 명령어를 직접 입력하는 등 뭔가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mobaXterm이 많이 보급되기 전에는 FileZilla로 많이 업로드를 했는데 mobaXterm가 사용하기도 편하고 FTP(SFTP)를 포함하여 이것저것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는 장점으로 요즘은 putty보다는 처음부터 mobaXterm으로 바로 원격 프로그램을 입문하는 경우도 있다.
MobaXterm 원격 접속하기
mobaXterm을 실행해보면 GUI 형태로 뭔가 이것저것 기능이 많다는 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접속하기 위해선 Session 아이콘을 클릭하면 된다.
Session settings 창이 뜨는게 저기에 public IP를 입력하고 username을 ubuntu라고 명시한 후 Use private Key를 체크하고 pem파일을 로드하면 접속이 된다.
파일 업로드
mobaXterm에서는 SFTP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것은 SSH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SSH가 이미 설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SFTP를 아래 화면 처럼 선택하고 public IP주소와 private key를 넣어주면 마찬가지로 SFTP창이 열린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한데 옮기고자 하는 파일을 드래그하면 이동이 된다. 콘솔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보다 매우 편하다. 또한 SFTP 창 안에서 파일 삭제, 파일 이동, 폴더 생성, 파일 생성 등이 가능하니 파일 업로드 외의 기능으로도 사용이 용이하다.
SFTP가 아니더라도 github를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파일을 서버에서 내려받는 방식을 이용하기도 하는데 그럴 경우에 gitignore에 있는 설정 파일들은 못 끌어오니 이러한 업로드 방법을 사용하면 될 것이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기초(2) - 인스턴스 접속, 탄력적 IP (0) | 2023.07.18 |
---|---|
AWS 기초(1) - 회원가입하기, 인스턴스 생성 (0)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