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선생님 스프링 부트 강의를 따라하던차 무언가 에러가 났다.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막 서버를 열자마자 위와 같은 에러가 떴다. 음... 구글링 해보니까 8080 포트에 뭔가 떠있다고 한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8080에 Oracle 서버가 떠있었던것 같다. 뭐 그래서 가볍게 관리자 권한으로 cmd를 열고 netstat -ano | findstr 8080으로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찾고 taskkill /f /pid <해당pid>를 입력해서 가볍게 지워줬다.
이제 좀 서버가 열리나 했더니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라 뜨더니 또 서버가 안열린다. 하.. 프로젝트를 다시 깔아도 안된다. 뭔 짓을 해도 안되네?
하... 구글링좀 더 하다가 "build.gradle에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을 추가하고
여기서 Reload Gradle Project 했더니 뭐지 갑자기 해결된다.
(* 사실 이와 같은 에러가 뜬 이유는 스프링 부트 설치시에 ADD Dependencies에 스프링 웹을 추가하지 않아서 일어난 문제였다. 사실 강의를 들은지 오래된 상태에서 이걸 복기하는지라 이걸 추가하는지 몰랐던거다. )
다행히도 서버가 열렸다. 이번엔 8080으로 열렸다.
그리고 혹시 몰라서 이젠 오라클 서버 포트번호까지 바꿔주었다. 관리자 계정으로 접속해서
1. SELECT DBMS_XDB.GETHTTPPORT() FROM DUAL; 을 입력해서 현제 port 번호 확인
2. EXEC DBMS_XDB.SETHTTPPORT(원하는포트번호); 라고 입력해주면 끝
'스프링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부트 + Thymeleaf 정리하기(4) (0) | 2023.07.18 |
---|---|
스프링 부트 + Thymeleaf 정리하기(3) (0) | 2023.07.18 |
스프링 부트 + Thymeleaf 정리하기(2) (0) | 2023.07.16 |
스프링 부트 + Thymeleaf 정리하기(1) (0) | 2023.07.16 |
스프링 부트에서 jsp 사용하기 (0) | 2023.07.15 |